본문 바로가기
약리학

이뇨제-삼투성 이뇨제(Osmotic diuretic)

by 난딴놈의밥만가져가 2022. 1. 10.
반응형

근위세뇨관 및 Henle 고리의 하행부분에 작용하는 삼투성 이뇨제

기전

  Henle고리의 가는부분(thin limb of Henle's loop)은 소변의 농축 및 희석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내 수질(inner medulla)에 위치한 고리의 하행부분에는 AQP1이 존재한다. 이 부분에서는 수분에 대한 투과성은 높으나 용질에 대한 투과성은 상대적으로 낮다. 이로 인하여 세뇨관 내강에서 상대적으로 삼투압이 높은 수질의 간질(medullary interstitium)로 수분이 재흡수되며 세뇨관 액의 Na+과 요소(urea) 농도는 증가한다. 고리의 가는 상행부분에서는 삼투압 차이에 의한 수분의 투과성은 낮고 요소에 대한 투과성은 중간정도이며 Na+ 과 Cl-에 대한 투과성은 높다. 주위의 내 수질 간질의 Na+ 농도는 세뇨관 액보다 낮고 요소 농도는 높으므로 Na+과 Cl-는 세뇨관 밖으로 이동하고 요소는 세뇨관 안으로 이동하지만 투과성이 상대적으로 낮아 세뇨관 액이 희석된다. Henle 고리의 가는부분에서는 전체 사구체 여과액의 15%가 재흡수되고 Na+과 Cl-의 25%가 재흡수된다.

  삼투성 이뇨제(Osmotic diuretic)은 사구체에서 여과는 되지만 세뇨관에서 재흡수되지 않는 비전해질로서 소변의 삼투압을 높여 이뇨 작용을 나타낸다. 이들은 특이한 약리작용은 없고 대체로 체내에서 변화되지도 않는 비전해질이며 주로 소변 중의 분자 농도에 따라 삼투압에 영향을 미친다. 삼투성 이뇨제는 사구체에서 여과되어 근위세뇨관을 통과할 때 재흡수되지 않으므로 삼투압을 유지하기 위해 근위세뇨관과 Henle 고리의 하행부분에서 물의 재흡수가 억제된다.

  삼투성 이뇨제의 대표적 약물은 mannitol 이다. 세뇨관에서 완전히 또는 50% 이상 재흡수되는 포도당이나 요소도 삼투성 이뇨제로 사용된다. 이들 물질은 세뇨관의 재흡수 능력을 초과하는 대량을 투여함으로써 삼투성 이뇨제와 같은 원리로 소변 양이 증가된다. 당뇨병 환자에서 볼 수 있는 다뇨증은 요중 포도당에 의한 삼투성 이뇨현상이다.

  장 점막의 상피세포는 신장의 세뇨관 상피세포와 투과성이 비슷하므로 삼투성 이뇨제는 소화관 점막에서 흡수가 잘 되지 않아 내복하여서는 효과가 없고 주사로 투여하여야 한다. 이들 약물은 투과성이 적은 눈에서 혈장 삼투압을 상승시켜 안압을 하강시킬 목적에만 사용하고 있다.

임상응용

  Mannitol이 가장 많이 사용되는 삼투성 이뇨제로서 주로 급성신부전(ARF; Acute Renal Failure)을 예방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각종 원인에 의한 사구체 여과의 감소 또는 세뇨관 상피세포의 투과성 변화로 소변양이 극심히 감소하면 세뇨관내 독성물질 농도가 높아져 세뇨관을 손상시킬 수 있다. 이때 mannitol을 투여하면 세뇨관 내의 삼투압이 증가되어 물의 재흡수를 억제시키므로 소변 양이 증가하고 세뇨관 내의 독소 농도를 희석하여 세뇨관 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 저혈압의 경우에 mannitol은 사구체 여과 속도를 유지하는 데 생리식염수보다 효과적이고 또한 세포외액의 삼투압을 높여서 세포부종을 감소시키고 콩팥혈류를 양호하게 한다.

  Mannitol 등 삼투성 이뇨제는 급성 요량감소(acute oliguria)의 치료 가능 여부를 진단할 목적으로 사용한다. 즉, 과도한 체액 손실에 의하여 극심한 소변 양의 감소가 있을 때 mannitol을 투여하여도 소변 양이 증가되지 않으면 사구체 또는 세뇨관의 심한 기질손상이 초래된 것으로 간주한다.

  그 외에 mannitol은 뇌척수액의 압 및 양을 감소시킬 목적으로도 사용한다. 즉, 혈장 삼투압을 증가시켜 뇌 척수액으로부터 혈액 내로 수분을 확산시킬 수 있으나 그 효과는 일정치 않다.

부작용

  두통, 구토 및 구역질이 흔히 나타나며 가끔 과민반응이 나타나기도 한다. Mannitol을 대량 투여하였을 때는 세포외액의 양이 증가되어 심장질환 환자에서는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으며, glycerin은 대사되어 혈당상승 및 당뇨가 나타나기도 한다.

반응형

'약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뇨제-강력이뇨제  (1) 2022.01.11
이뇨제, 탄산탈수효소(CA) 억제제  (0) 2022.01.09
소화기계 약물, H+ 펌프 억제제  (0) 2022.01.03
5-HT(5-Hydroxytryptamine) 약물의 약리작용  (0) 2022.01.02
Atropine계 약물(2)  (0) 2022.01.01

댓글